-당뇨병??


당뇨병이란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혹은 분비되는 인슐린이 체내에서 적절하게 작용을 하지 못함으로써 

고혈당과 당뇨가 생기는 만성 대사성 질환


-당뇨병의 위험요인


◎ 유전, 비만, 노화, 임신, 신체활동 부족, 스트레스, 약물남용 등이 있으면 정확한 근본원인 밝혀지지 않았다고 합니다.

◎ 당뇨병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.


-당뇨병 진단기준


 분류

공복시 혈당 

식후 1시간 혈당 

식후 2시간 혈당 

정상

110미만 

180미만 

140미만 

내당증장애

110-125

180-199 

140-199 

당뇨병

126이상 

200이상 

200이상 



-당뇨병의 종류


제1형 당뇨병(인슐린 의존형 당뇨병)

  • 주로 40대 이전에 인슐린 분비가 부족하여 나타납니다.
  • 인슐린 주사가 필요합니다.
  • 다음, 다식, 다뇨의 증상이 나타납니다.
  • 음식을 자꾸 먹게 되지만 체중은 감소됩니다.

제2형 당뇨병(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)

  • 주로 40대 이후에 나타납니다.
  • 환자의 90%가 비만과 관련이 있습니다.
  • 인슐린의 감수성이 저하되어 나타납니다.

-당뇨의 합병증


저혈당증
당뇨병 환자가 혈당이 50mg/dl 이하로 떨어지면 저혈당증이라고 합니다.

 원인:

  • 식사나 간식을 너무 적게 먹을 때
  • 인슐린을 과다하게 투여하였을 때
  • 운동을 심하게 하였을 때
  • 인슐린을 투여하고 나서 식사시간을 제대로 지키지 못했을 때

 증상:

  • 두통, 허기짐, 경련, 현기증, 정서불안, 의식불명 등

 응급치료:

  •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흡수되기 쉬운 당질(과일주스, 꿀물, 사탕 등)을 약 15-20g 정도 섭취
  • 심한 경우에는 포도당 주사, 글루카곤 투여 등

케톤증


 원인:
인슐린의 투여량이 적었을 경우
과식, 스트레스 등에 의한 경우

 증상:
피로감, 허약, 구토, 심하면 혼수상태
호흡 시 과일 냄새

 응급치료:
혼수상태인 경우 인슐린 투여


만성 합병증

  • 당뇨병은 혈당조절을 잘 하지 못할 경우 만성 합병증이 나타나기 쉽습니다.
  • 대표적인 합병증은 만성신부전, 백내장, 망막증, 동맥경화, 협심증, 발이 썩는 증상 등입니다.
  • 합병증이 발생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으니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.

-당뇨병의 식사관리

  • 당뇨병을 관리하는 기본은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입니다.
  •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으로 혈당관리가 어려우면 약물요법을 병행합니다.

당뇨식이란?

  • 올바른 당뇨식이란 정상적인 활동을 하면서 적당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알맞은 열량을 영양소별로 골고루 섭취하는 것입니다.
  • 당뇨식사는 단순히 혈당조절만을 위한 식사라기보다는 건강한 생활을 위한 건강식입니다.

기본목표

  • 정상에 가까운 혈당을 유지합니다.
  • 적절한 혈중 지질농도를 유지합니다.
  • 적정체중을 유지합니다.
  •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최대한으로 지연시킵니다.
  • 적절한 영양공급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게 합니다.

식사계획의 기본 원칙


 총열량 섭취 필요량 결정

  • 표준체중의 산출방법
       ① 표준체중(kg) = (신장(cm) - 100) x 0.9
       단 신장이 150cm 이하이면 (신장-100)을 사용한다.
       ② 남자: 키(m) x 키(m) x 22, 여자: 키(m) x 키(m) x 21
  • 1일 총 필요 열량 산출
       표준체중(kg) x 체중 kg 당 필요 열량

     표준체중 kg 당 필요 열량

  • 침대에 누워만 있는 사람: 25kcal/kg
  • 침대에서만 거동 가능한 사람: 30kcal/kg
  • 아주 가벼운 운동을 하는 사람: 35kcal/kg
  • 중등 활동을 하는 사람: 40kcal/kg 

    단, 65세 이상 및 비만인 사람은 각각 5kcal씩 줄입니다.

  • 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