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당뇨병??
당뇨병이란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혹은 분비되는 인슐린이 체내에서 적절하게 작용을 하지 못함으로써
고혈당과 당뇨가 생기는 만성 대사성 질환
-당뇨병의 위험요인
◎ 유전, 비만, 노화, 임신, 신체활동 부족, 스트레스, 약물남용 등이 있으면 정확한 근본원인 밝혀지지 않았다고 합니다.
◎ 당뇨병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.
-당뇨병 진단기준
분류 |
공복시 혈당 |
식후 1시간 혈당 |
식후 2시간 혈당 |
정상 |
110미만 |
180미만 |
140미만 |
내당증장애 |
110-125 |
180-199 |
140-199 |
당뇨병 |
126이상 |
200이상 |
200이상 |
-당뇨병의 종류
제1형 당뇨병(인슐린 의존형 당뇨병)
- 주로 40대 이전에 인슐린 분비가 부족하여 나타납니다.
- 인슐린 주사가 필요합니다.
- 다음, 다식, 다뇨의 증상이 나타납니다.
- 음식을 자꾸 먹게 되지만 체중은 감소됩니다.
제2형 당뇨병(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)
- 주로 40대 이후에 나타납니다.
- 환자의 90%가 비만과 관련이 있습니다.
- 인슐린의 감수성이 저하되어 나타납니다.
-당뇨의 합병증
저혈당증
당뇨병 환자가 혈당이 50mg/dl 이하로 떨어지면 저혈당증이라고 합니다.
■ 원인:
- 식사나 간식을 너무 적게 먹을 때
- 인슐린을 과다하게 투여하였을 때
- 운동을 심하게 하였을 때
- 인슐린을 투여하고 나서 식사시간을 제대로 지키지 못했을 때
■ 증상:
- 두통, 허기짐, 경련, 현기증, 정서불안, 의식불명 등
■ 응급치료:
-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흡수되기 쉬운 당질(과일주스, 꿀물, 사탕 등)을 약 15-20g 정도 섭취
- 심한 경우에는 포도당 주사, 글루카곤 투여 등
케톤증
■ 원인:
ㆍ인슐린의 투여량이 적었을 경우
ㆍ과식, 스트레스 등에 의한 경우
■ 증상:
ㆍ피로감, 허약, 구토, 심하면 혼수상태
ㆍ호흡 시 과일 냄새
■ 응급치료:
ㆍ혼수상태인 경우 인슐린 투여
만성 합병증
- 당뇨병은 혈당조절을 잘 하지 못할 경우 만성 합병증이 나타나기 쉽습니다.
- 대표적인 합병증은 만성신부전, 백내장, 망막증, 동맥경화, 협심증, 발이 썩는 증상 등입니다.
- 합병증이 발생하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으니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.
-당뇨병의 식사관리
- 당뇨병을 관리하는 기본은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입니다.
-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으로 혈당관리가 어려우면 약물요법을 병행합니다.
당뇨식이란?
- 올바른 당뇨식이란 정상적인 활동을 하면서 적당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알맞은 열량을 영양소별로 골고루 섭취하는 것입니다.
- 당뇨식사는 단순히 혈당조절만을 위한 식사라기보다는 건강한 생활을 위한 건강식입니다.
기본목표
- 정상에 가까운 혈당을 유지합니다.
- 적절한 혈중 지질농도를 유지합니다.
- 적정체중을 유지합니다.
-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최대한으로 지연시킵니다.
- 적절한 영양공급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게 합니다.
식사계획의 기본 원칙
■ 총열량 섭취 필요량 결정
① 표준체중(kg) = (신장(cm) - 100) x 0.9
단 신장이 150cm 이하이면 (신장-100)을 사용한다.
② 남자: 키(m) x 키(m) x 22, 여자: 키(m) x 키(m) x 21
표준체중(kg) x 체중 kg 당 필요 열량
■ 표준체중 kg 당 필요 열량 단, 65세 이상 및 비만인 사람은 각각 5kcal씩 줄입니다. |
'내가 사는 이야기 > 세상사는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봄이 실감나네요 (0) | 2015.04.10 |
---|---|
히어로즈오브스톰 베타키 뿌립니다. (0) | 2015.04.08 |
내 속의 숨겨진 나를 찾아라 메알TV(광고아님) (0) | 2015.03.04 |
Freedom of media in South Korea (0) | 2015.03.01 |
불편한 진실 (0) | 2015.02.12 |